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7

귀향지 황주노정, 소식의 슬픔을 읽다 남당(南堂) 바닥 쓸고 향 피우 문 닫고 잠자는데 대자리 무늬는 물방울 같고 휘장은 연기 같다. 나그네가 찾아와 꿈에서 깨어 어느 곳인가 알려고 서쪽 창문을 여니 물결은 하늘에 닿아 있다 이 시는 소식이 황주로 폄적(귀향) 된 후에 지은 시이다. 당시 나이 48세로 귀향살이를 가는 중에 21살된 아들이 동행하였다. 아내와 다른 가족을 장안에 남겨두고 육로로 먼저 황주로 떠났다. 1월1일에 출발하여 2월에 황주에 도착하였다 정혜원에 거쳐를 정하고 황주성 남쪽 임고정으로 옮겼다. 귀향생활이었으나 때때로 짚신을 신고 밖으로 나와 배를 타고 어부들과 어울리기도 하고, 술꾼들과 함께 술을 마시며 하루를 보내기도 하였다. 3년 후에 방 세 칸 달린 남당을 지었다. 이 시는 이곳 남당에서 지었다. 남당에서 느낀 감회.. 2024. 2. 29.
소식의 시를 엿보다 소식(소동파)의 동파(東坡)를 엿보도록 하겠습니다. 동파(東坡) 비에 씻긴 동파 달빛이 맑고 저자 사람 다 지나가면 농부들이 지나간다 울퉁불퉁한 언덕길 싫지 않고 홀로 시끄럽게 지팡이 끄는 소리를 좋아한다 신 소식은 동파를 청정함에 비유한다 여기서 동파는 지명이름이다. 비에 씻긴 동파는 맑고 깨끗하다. 달빛에 비치니 동파가 투명하고 맑다. 부산스러운 시장사람들이 지나가고 나면 , 조용히 농부들이 지나간다 복잡하게 이해관계에 얽힌 사람들이 지나가면 조용하고 다툼 없는 사림이 지나간단다 시인 소식은 지금 갈등하는 것이다. 울퉁불퉁한 길을 택하느냐, 홀로 모든 것을 잊고 동파의 삶을 택하느냐 사람은 누구나 인생에서 갈등하며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그러나 관료의 삶으로 시작하였으니 어찌 길을 잃겠는가. 손에 .. 2024. 2. 28.
시대를 거슬러 송대의 문인 소동파의 시를 엿보다 소식(소동파)는 동파거사라고 불려지기도 하고 성을 함께 하여 소동파라고도 한다. 소식은 부친 소순에게서 배우고 구양수의 문하에서 공부하여 과거에 동생 소철과 함께 합격하였다. 워낙 뛰어나서 장원감이었으나 시험감독관인 구양수의 문하였기에 부정 이라는 화를 피하기 위해 차석으로 합격하였다. 실제는 장원이었다. 소식(소동파)는 관직생활이 녹녹지 않았았다. 당시 왕안석의 신법개혁으로 신.구파로 나뉘어 조정이 시끄러울 때였다. 소식은 신법파라고 하였으나 사실은 신법도 구법도 아닌 중도개혁파였다. 그이유로 중앙관직에서 좌천되어 지방관으로 전전하며 유배생활도 하였다. 마지막에는 황제가 바뀌어 중앙관직으로 복귀도중 병으로 노중에 객사하였다. 소동파의 관직생활은 불운하였다. 소동파(소식)은 고문연구와 고문운동을 한 문인.. 2024. 2. 27.
시간을 거슬러 당송팔대가 구양수의 시를 엿보다 구양수의 삶은 참 고단하다고 표현해 본다. 구양수는 한미한 가정에서 태어 났다. 4살 때 부친을 여의고 홀머머니의 손에서 가난하게 자랐다. 그러나 어머니가 나뭇가지로 땅 바닥에 글을 쓰며 가르쳤다. 제대로 된 정규과정의 공부를 하지 못 하였다. 오로지 독학으로 공부를 하였다. 그것이 구양수를 외 골수가 되게 배경이 되었다. 벼슬길에 나아간 후 범중엄과 가까이 지내며 고문연구를 함께 하였다. 구양수는 도교와 불교를 배척한 철저한 유교주즤자다. 구양수는 당나라의 이백과 한유의 시에 영향을 받았다. 술을 마시며 자연을 논하는 그 시풍이 구양수의 마음을 움직였으리라 생각 해본다. 앞서 구양수의 시편에서 이미 몇 수를 올렸다. 변경의 집(邊戶) 집안 대대로 변경에 사는 집이기에 해마다 줄곧 오랑캐를 대비해 왔다 .. 2024. 2. 26.